현재 위치

현장소식

최전선의 여성들: 분쟁의 여파 속 꼭 맞잡은 두 손

2024.03.08

세계 각국에서 분쟁과 전쟁이 일어나는 가운데, 여성들은 같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다른 여성들의 의료보건 수요를 해결하는 데는 물론이고 국경없는의사회와 같은 구호 단체의 지원 과정에서도 필수적인 역할을 맡고 있다.

분쟁이나 전쟁이 발발했을 때 여성들의 일상적 의료보건 수요가 사라지지는 않는다. 오히려 여성들은 적절한 식량, 안전한 식수, 기본적인 위생용품을 구하기가 어려운 탓에 더욱 위태로운 보건 상황에 처하게 된다. 또한 피임 및 모성 치료, 성매개감염병 보호 장치에 대한 접근성을 잃고 연인이나 배우자에 의한 성폭력에 더욱 크게 노출된다. 결국 여성들은 질병에 걸리거나 사망할 가능성이 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모든 인도적 대응에 있어 여성 대상 종합적 의료 지원 및 보호가 우선시되어야 한다.

차드, 콩고민주공화국, 팔레스타인 등 세계 각지에서 분쟁 및 전쟁이 발생하는 가운데, 국경없는의사회는 여성 대상 의료 지원 구축 및 확대를 위해 종종 피해 지역사회 여성들의 도움을 받는다. 여성들은 대응 활동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자신의 기술, 생생한 경험, 현지 지식을 공유하고 연대하며 더 많은 여성이 치료 및 사회적 지원을 받고 침묵 속에서 고통받지 않도록 돕는다.

차드

산모와 아기들을 안전하게 지켜주고 싶어요.”

차드에서 조산사로 활동하고 있는 카디자 야히아 아담(Khadija Yahia Adam, 가명). 2024년 2월. ©Diana Zeyneb Alhindawi

카디자 야히아 아담(Khadija Yahia Adam, 가명)은 숙련된 조산사로 현재 차드에서 생존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60만 명 이상의 수단 난민 중 한 명이다. 차드 동부 내 난민 여성 대부분은 지역사회 조산사의 도움을 받아 집에서 출산하는 것을 선호한다. 하지만 아드레 같은 난민 캠프에서는 조산사에게 필요한 도구 및 위생적인 환경이 부족해 산모와 아기가 위험에 처하는 경우가 많다. 카디자는 차드에서 정식으로 일할 수는 없지만, 국경없는의사회를 통해 자원봉사자 훈련을 받아 필수적인 산전후 관리를 지원하고 국경없는의사회가 운영하는 산부인과에서 안전한 출산을 위한 진료 의뢰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조산사, 지역사회 의료보건 자원봉사자, 문화 중재자 등 다양한 역할을 맡은 여성들은 때때로 비밀 보장을 위해 자택에서 다른 여성들에게 위로와 조언을 제공한다. 이들은 여성들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소개해 주거나 피임 관리, 임신 및 산후 관리, 성폭력 관련 치료, 안전한 임신 중절 치료, 정신건강 지원 등에 직접 참여하기도 한다.

이들은 여성 의료보건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지역사회 참여를 강화하며, 낙인을 줄이는 등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또한 여성들이 어느 정도 스스로 건강 관리를 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자신과 타인을 돌볼 수 있도록 지원하기도 한다.

콩고민주공화국

저는 실향민입니다. 그리고 의료보건 자원봉사자이기도 하죠.”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지역사회 의료보건 자원봉사자로 활동하고 있는 헨리에트 음비체(Henriette Mbitse). 2024년 2월. ©MSF/Marion Molinari

콩고민주공화국 동부에서 급증하는 분쟁으로 수많은 실향민이 발생한 가운데, 헨리에트 음비체(Henriette Mbitse)와 같은 지역사회 의료보건 자원봉사자들은 카냐루치냐(Kanyaruchinya)에서 국경없는의사회의 성폭력 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생존자들이 안전하고 비밀이 보장되는 환경에서 치료받을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마망 헨리에트(Maman Henriette)라는 애칭으로도 불리는 그녀는 가족과 함께 피난하기 전 고향 마을에서 의료보건 자원봉사자로 활동했다. 클라라(Clara, 가명) 역시 럿슈루(Rutshuru) 지역에서 8명의 자녀를 데리고 카냐루치냐로 피난했다. 그녀는 땔감을 팔기 위해 숲으로 나무를 구하러 갔다가 강간을 당했다.

저를 이곳으로 데려와 준 의료보건 자원봉사자에게 감사해요. 그녀가 아니었다면 저는 죽을 수도 있었으니까요.”

분쟁을 피해 피난길에 오르고, 직접적인 폭력에서 살아남고, 가족을 잃은 슬픔을 겪고, 돌보고 보호해야 할 자녀가 있는 가장으로서 불확실한 미래를 바라보며 살아야 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행동은 그들이 얼마나 강한 회복력을 가졌는지 보여준다.

팔레스타인

우리는 모두 점령의 고통을 겪었습니다. 그래서 같은 감정을 느끼죠.”

서안지구에서 국경없는의사회 문화 중재자로 활동하는 누라 아라파트(Noura Arafat). 2024년 2월. ©MSF/Louis Baudoin-Laarman

국경없는의사회 문화 중재자로 활동하는 누라 아라파트(Noura Arafat)는 팔레스타인 서안지구 소재 나블루스(Nablus)에서 평생을 살아왔다. 가자지구 전쟁 발발 이후, 나블루스를 비롯한 서안지구 전역에서의 상황은 엄격한 이동 제한 및 이스라엘군과 정착민들의 늘어나는 폭력 때문에 계속 악화되고 있다. 슬픔은 여성들이 직면한 어려움 중 하나다. 누라는 지역사회 여성들이 국경없는의사회의 정신건강 프로그램을 통해 지원받아 슬픔을 극복하고 삶의 희망을 되찾을 수 있도록 돕고 있다.